|
직무분석 컨설턴트 양성 과정
|
|
- 글쓴이 관리자
- 작성일 2022-05-27 09:24:28
- 조회수 297
|
|
|
|
 
교육일정 | 2022. 6. 29 ~ 6. 30 (수,목) | 강사 | 조대진 노무사 |
---|
교육시간 | 09:00 ~ 18:00 / 1일 8H (총 16H) | 교육비용 | 550,000원 (교재 및 식사 제공) |
---|
수강대상 | 현직 인사총무담당자, 직무분석 컨설턴트에 관심이 있는자 | 교육문의 | HR에듀센터 (02-6925-0047) |
---|
입금계좌 | 국민은행 507401-01-212414 (주)에이취알커뮤니케이션즈 |
---|
- 인사담당자로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직무분석의 기본개념과 이론들을 이해한다 - 직무분석을 통해 조직과 조직 구성원들의 성과를 향상시켜주는 직무분석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-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개념과 운영의 기본 프로세스를 이해한다
|
- 인사관리 분야에 전혀 경험이 없지만, 사내에서 직무분석 컨설턴트에 관심 있는 자 또는 인사총무 담당자를 위한 기초 강의 입니다 |
교재 | 강의내용 |
---|
직무분석 개론 | 오프닝 | 0. 직무분석 전체 흐름잡기 | 1.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| 2. 직무분석의 유형 | 3. 직무분류의 이해 | 4. 국가직무능력표준(NCS)의 이해 | 5. 직무분석의 활용분야 | 6. 직무분석 컨설턴트의 역할 | 7. 직무분석 심화학습방법 | 학습내용 정리 /성과관리의 새로운 트렌드 OKR 제도 안내 |
교재 | 강의내용 |
---|
체계적 직무분석 | 1. 성과중심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| 2. 성과중심 직무분석의 추진 프로세스 | 3. 직무분류 | 4. 직무별 SME 선정 | 5. 직무분석 실시 본단계 | 6. 직무기술서 작성 및 사후관리 | 7. 직무역할(Mission) 설정하기 | 8. 성과목표 설정하기 | 9. CSF 도출하기 | 10. 행동지표 도출하기 | 11. 직무역량 도출하기 | 12. 직무자격 도출하기 | 13. KPI 설정하기 | 14. 직무기술서의 활용방안 | 퍼포먼스 | 1. 개인의 성과관리 도구로서의 직무분석 | 2. 개인 업무관리를 위한 직무분석 결과 |
◆ 강사소개
|
|
|
|
목록
|